목차
1. 서브넷 추가 생성
2. RDS 생성 및 설정
3. RDS 원격 접속
1. 서브넷 추가 생성
https://aeeazip.tistory.com/44
[AWS] 프로젝트 초기 설정 (1) - VPC 생성 후 EC2 생성
목차 1. VPC 기본 설정 2. 보안 그룹 생성 3. EC2 생성 4. 탄력적 IP 설정 5. 원격 접속(VSCode) 1. VPC 기본 설정 1. AWS에서 로그인 후 VPC를 검색한다. 2. VPC 생성 버튼을 클릭한다. 3. VPC 생성 주의사항 생성
aeeazip.tistory.com
위에서 생성했던 VPC의 퍼블릭 서브넷에 RDS를 배치하도록 설정할 예정이다.
RDS를 VPC의 서브넷에 배치하려면 2개의 서브넷을 지정해줘야 한다. RDS는 만약을 대비하여 서브넷 2개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1. VPC > Subnets 을 선택한다.
2. 주황색 버튼의 서브넷 생성을 클릭한다.
- VPC ID는 기존에 생성해두었던 default가 아닌 VPC를 선택
- IPv4 CIDR 블록에 10.0.2.0/24 10.0.3.0/24인 subnet을 총 2개 추가
3. 라우팅 테이블에 연결한다.
- 위의 서브넷을 퍼블릭 서브넷으로 만들기 위해 외부와 연결된 라우팅 테이블에 연결
- 서브넷을 생성 시 자동으로 완료!
4. VPC 설정을 편집한다.
- VPC 선택 > 작업 > VPC 설정 편집 클릭
- DNS 호스트 이름 활성화를 선택
2. RDS 생성 및 설정
1. DB 서브넷을 생성한다.
- 새로 만들 DB를 원하는 VPC의 퍼블릭 서브넷에 배치하기 위한 DB 서브넷 생성이 필요
- RDS > 서브넷 그룹 > DB 서브넷 그룹 생성 클릭
- VPC를 선택 후 퍼블릭 서브넷 2개를 선택
- 단 서로 다른 2개의 가용 영역으로 선택 후 DB 서브넷 생성 클릭
2. DB를 생성한다.
- RDS >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베이스 생성 클릭
- 표준 생성 선택 + 데이터베이스는 MySQL 선택
- 템플릿은 프리티어로 선택 + DB 인스턴스명 입력
- 마스터 사용자 이름은 보통 root / admin 많이 사용
- 마스터 암호는 잊어버리지 않도록 주의!
- 무료로 사용하고 싶다면 스토리지 자동 조정은 체크 해제!!
- VPC를 기존에 만들어두었던 UMC-5th-Example을 선택 후 앞서 생성한 DB 서브넷을 선택
- 퍼블릭 액세스는 Yes!!
- 보안 그룹은 VPC 설정 시 만들었던 보안 그룹을 넣어주기
- 인바운드 규칙으로 3306 포트 anywhere 포함!
- 자동 백업 체크 해제 후 생성
이제 데이터베이스가 생성되었을 것이다!
그런데 DB 인스턴스 인증서 만료 날짜가 빨간색으로 뜬다면
- 좌측 > 인증서 업데이트 선택
- 데이터베이스를 선택 후 지금 적용 클릭
3. RDS 원격 접속
1. DB 정보를 확인한다.
- 데이터 베이스 상세 페이지에서 엔드포인트 복사
- DataGrip에서 Data Source > MySQL 선택
Host | RDS 엔드포인트 |
User | RDS 생성 시 기입했던 마스터 정보 |
Password | RDS 생성 시 기입했던 마스터 패스워드 |
다음과 같은 정보를 입력하고 Test Connectioned을 진행했을 때 Success 뜨면 성공이다!
'Cloud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프로젝트 초기 설정 (2) - Nginx와 Reverse Proxy 설정 (0) | 2023.11.07 |
---|---|
[AWS] 프로젝트 초기 설정 (1) - VPC 생성 후 EC2 생성 (2) | 2023.11.03 |
[AWS] EC2에 SpringBoot 프로젝트 수동 배포하기 (2) | 2023.02.26 |